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1

개떡 같은 기분에서 벗어나는 법(안드레아 오언) 리뷰 제목을 보면 좀 막말하는 자기계발서인가? 싶을 것이다. 하지만 읽어보니 자기계발서나 힐링 서적을 싫어하는 사람이라도 이 책은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너무 자신을 몰아세우라고 하지도 않고, 다 괜찮으니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지도 않는다. 이 책은 실용서이다. 나도 모르게 공부하듯이 키워드를 정리하면서 읽었다. 키워드를 정리하기도 정말 쉬웠던 게, "내면의 비판자", "연민하는 목격자"와 같이 기억하기 쉬운 단어로 정리해 준다. 포스트잇에 10개 이상의 단어가 적혔는데, 이것들을 의식하면서 산다면 좀 더 긍정적으로, 행복하게 살 수 있으리라는 자신감이 생긴다. 아니, 그보다는 '개떡 같은 기분'에서 탈출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에 가까운 것 같다. 정말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 2020. 1. 13.
끌림 - 이병률 여행 산문집 리뷰 랜덤으로 책을 받지 않았다면 읽어볼 일 없던 책이다. 주변 사람 중 한 명이 사진만 잔뜩 들어가고 글은 적게 들어간 책에 대해 맹렬히 비판했고, 나도 어느 정도 동의했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사진이 정말 많이 들어가 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그게 불만이 되지는 않았다. 글도 그만큼 많이 들어가 있을뿐더러, 글에서 울림을 느꼈기 때문이다. 취향에 안 맞을 것 같은 글이었지만, 읽다 보면 한 문장씩 마음에 들어왔다. 어느 부분에서는 '에이, 이건 좀 아니지' 싶기도 했지만, 또 다른 부분에서는 고개를 끄덕였다. 살면서 점점 좁은 사회로 들어가는 기분을 느꼈다. 학교도 학교다 보니, 점점 주위에는 나와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뿐이었다. 그런데 이 책은 그런 내 주위에 없는, 사람의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2020. 1. 13.
지상 최대의 내기 - 곽재식 소설집 리뷰 또 곽재식 작가의 SF 단편 소설집이다. "지상 최대의 내기"라는 이름의 단편 소설은 이미 웹진 "거울"에서 읽어본 적이 있었다. 그 외에도 읽어봤던 내용의 소설이 몇 편 있었으나 읽어본 적 없고 이 책이 아니었으면 다른 방법으로 읽기 힘들었던 단편 소설들도 몇 편 읽었기에 크게 아쉽지는 않았다. 특히 앞에는 아는 소설이 많았으나 뒤로 갈수록 모르는 소설이 많아서 뒤로 갈수록 재미있게 느껴져서 책을 다 읽고 나니 책의 이미지가 쇄신된 느낌이다. 곽재식 작가의 SF 소설의 큰 특징 중 하나는 한국 직장의 비효율적인 문화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면서 읽는 독자가 "고구마"를 얻게 하는 것이 있는데, 이 단편집에서도 "초공간 도약 항법의 개발" 뿐만 아니라 여러 단편집이 회사를 배경으로 했다. 특히 이 소설은 이전.. 2020. 1. 13.
토끼의 아리아 - 곽재식 소설집 리뷰 곽재식 작가의 소설집을 벌써 다섯 권이나 읽었다. 이번 책에서도 역시나 이전 단편집에서도 볼 수 있었던 곽재식 작가의 특징이 많이 보였다. 그 외에 이번에 새로 알게 된 특징에 대해 써보려고 한다. 한국의 회사에서 생기는 일을 묘사하는 소설이 많은데, 이번에는 한국 이공계에서 벌어지는 여러 사건을 다루는 것이 보인다. 이전에도 느꼈던 점이지만, 특히 최근 몇 년간 이슈가 되었던 국내 연구원들의 해외 취업을 기술 유출로 보는 움직임에 대해 소설집의 제목이기도 한 단편소설 '토끼의 아리아'에서 다룬 것이 인상 깊었다. 알고 보니 곽재식 작가는 이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계속 고수하고 있었고, 소설이 아닌 다른 창구를 통해서도 이를 비판한 적이 있었던 모양이다. (https://www.nocutnews.co... 2020. 1. 12.
웬만해선 아무렇지 않다(이기호) 리뷰 이 책은 작가의 말에서부터 위트가 넘친다. 짧은 이야기들이 모여있으니 작가의 말도 시조로 남겼다고 한다. 말 그대로 다양하고 짧은 단편소설들이 담긴 이야기인데, 주제는 하나로 통일되어 있다. 현실적이기에 해학적인 사람사는 이야기들만을 모았는데, 어떤 이야기에서는 눈물이 나기도 하고, 어떤 이야기는 피식거리면서 읽게 되기도 한다. 맺고 끊음이 적당한 길이로 쓰여진 이야기들이라고 생각한다. 웃음이 나는 이야기들을 주위 사람들에게 소개했더니 실제로 있는 일이냐고 물어볼 정도로 흔한 일은 아니지만 주위에서 볼 수 있을 법한 이야기들이 모여있어 편하게 읽기 좋았다. 현실적인 이야기인 만큼 주로 친구와 가정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그 중 인상깊었던 이야기 하나를 소개해 보자면, '제발 연애 좀 해' 라는 제목의 단.. 2020. 1. 9.